서 론
유럽이나 미국 등 서구국가에서도 근대 법의학(法醫學)이 확립될 때까지 범죄사건 조사의 수준은 결코 높았다고 할 수 없으며 본격적인 과학조사가 가능해진 19세기 이전에는 온갖 비합리적이고 미신적인 판결이 비일비재하게 이루어졌다[
1-
3]. 반면 동아시아에서는 중국 송대(宋代)부터 변사자 조사기법(檢驗)이 크게 발전하여 전통적 사법 체계의 발전에 주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다. 송대(宋代)의 사대부들은 검시의 절차와 그 결과 해석을 경험에 입각하여 체계화하는 등 합리적 법의학 전통을 수립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이 시기에 발전한 검험기법은 인접한 동아시아 각국에 전파되어 큰 영향을 주었다[
2,
4-
8].
우리나라에서도 중국에서 편찬된 『무원록(無冤錄)』이 여말선초(麗末鮮初) 시기에 도입되어 범죄 심리(審理)의 지침서로 20세기 초반 대한제국 시대까지 적극 활용된 바 있었다[
3,
4,
9]. 조선시대와 대한제국 시기에 이러한 전통 법의학적 조사 기법에 기반하여 작성된 검시문안(檢屍文案)을 검안(檢案)이라 부른다. 이는 그 당시 사망사건이 발생한 경우 담당관이 시신(屍身)에 대해 검시한 후 법의학적 소견서인 시장(屍帳)을 작성하여 이를 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심문조서와 합쳐 관찰사 등 상부에 보고한 것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奎章閣) 서고에 600여 종 이상의 검안(檢案) 관련 자료가 보관되어 있다[
2,
3]. 이 검안서류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다양한 검토가 시도되어 조선사회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당시 살인 사건 조사에 있어 이론적 배경을 이루던 『무원록』에 대해서도 그 내용의 분석이 많이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조선시대에 발생한 살인 사건의 조사와 그 결말에 대해서도 많은 역사학적 검토가 있었다[
2,
5,
6,
9-
17].
하지만 조선시대 검안서류는 인문학적 측면에서의 중요성뿐 아니라 근대 법의학을 서구로부터 수용하기 이전에 동아시아 사회에서 독창적으로 운영되던 법의학적 사고방식 체계와 검시의 전통을 잘 보여주는 귀중한 사료이기도 하다. 이 검안문서는 미신이 아니라 축적된 객관적 경험을 바탕으로 살인사건을 신중히 조사하고자 한 당시 사람들의 노력의 결과물이기 때문에 법의인류학적으로도 매우 큰 학술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당시 검안문서에서 변사 사건을 합리적으로 판결하고자 하여 동원한 논리적 근거가 현대 법의학적 관점에서 볼 때 어느 정도로 타당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깊이 있는 분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조선시대 검안서류가 한문과 이두가 섞여 작성되어 그 해석이 매우 난해하여 의학전공자가 자료를 이해하기 쉽지 않았으며, 한문과 이두문에 능통하여 검안문서를 해독할 수 있는 인문학자는 정작 기록된 검험 내용을 현대 법의학의 관점에서 해석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조선시대 검안문서를 독해할 수 있는 인문학자와 이에 대해 법의학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의학자 간 학제간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진은 조선시대 검안문서를 의학적으로 정확히 이해하기 위한 전제작업의 일환으로 시장(屍帳) 내에 기술된 용어를 현대의학적 측면에서 해석하는 작업을 학제간 협동연구로 수행하여 보고한 바 있었다[
3]. 이러한 기왕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및 대한제국시기 검안 자료 시장의 개별 내용에 대해 본격적인 법의학적 검토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먼저 조선시대 검험 문서 기록을 온전히 번역하여 이해하며 그 결과물에 대해 현대 법의학적 시각에서 정확성 및 수용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여 이를 통해 조선시대 검험제도의 기능과 그 역사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이 된 문헌 자료는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관된 대한제국 시기 검안 자료인 운봉군(雲峯郡) 읍내면(邑內面) 서천리(西川里) 치사남인(致死男人) 박봉운(朴奉云) 초검 및 복검의 검안이다. 이 검안자료가 간행된 시기는 대한제국 광무(光武)6년(1902)으로 이는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검험 및 보고기법에 따라 작성되었다. 검안자료는 초검안 1책(45장), 복검안 1책(45장)이며 책의 크기는 초검안은 34×23 cm, 복검안은 34.5×22.5 cm이며 각각의 검안자료에는 시장(屍狀)과 앙후도면(仰後圖面)이 첨부되어 있다. 박봉운 사건의 초검안은 운봉군수(雲峰郡守) 이석원(李錫黿)이 8월 2일(음력 6월 29일)부터 8월 7일(음력7월 4일)까지 검험을 시행하고 8월 13일(음력 7월 10일)에 작성한 보고서이며, 복검안은 같은 건에 대해 구례군수(求禮郡守) 이재헌(李載憲)이 같은 달 13일(음력 7월 10일)부터 17일(음력 7월 14일)까지 검험 및 심문 후 19일(음력 7월 16일)에 작성한 보고서이다(
Fig. 1).
Fig. 1.
The official report covers the first (A) and second investigations (B) on the case of Park Bong-Un.
결 과
1. 해당 사건의 내역
검안 자료에 기술된 해당 사건의 내역은 다음과 같다. 전라북도(全羅北道) 운봉군(雲峯郡) 읍내면(邑內面) 동천리(東川里)에 거주하는 박봉운이 그의 사촌 형 흥업(興業)과 음력 1902년 5월 11일 싸운 뒤 중상을 입고 들것에 실려와 한 달 여를 치료하였으나 효험을 보지 못하고 그해 6월 28일 해시(亥時)경 마침내 사망하였다. 이에 부인(시친; 屍親) 강조이(姜召史)가 다음날인 29일 아침에 동천리 동임(東川里 洞任) 김재학(金在學)을 통해 억울함을 풀어달라는 고발장을 쓰게 된다. 이에 의하면 박봉운은 지난 5월 그의 사촌 형 흥업과 어떤 연고로 싸워(노름 후 말다툼) 심하게 두드려 맞고는 (들것에 실려) 제 집으로 돌아와 오랫동안 치료하다가 전 날 밤에 마침내 죽음에 이르자, 시신을 가해자인 서천리 흥업의 집으로 옮겨 (항의하고 있기에) 보고를 올린다 하였다. 보고 당시 살인 피의자인 박흥업은 봉운이 사망하기 이전 이미 도주한 상태였다 한다. 검험관(운봉군수 이석원)은 보고를 받은 당일 사람들을 거느리고 관가로부터 1리 정도 떨어진 읍내면 서천리 박흥업의 집 시신이 있는 곳에 가서 관례에 따라 검험을 실시하였다.
2. 초검
1902년 6월 29일 운봉군수 이석원의 감독 하에 시행된 초검에서는 사건 관련자로부터 증언도 함께 청취하였다. 검시 실무관인 최성락(崔成洛; 仵作使令)에게 시신이 놓여 있던 방문을 열어보게 하니, 나이 23세 정도 되는 남자(박봉운)가 넓은 면 요 위에 배와 가슴을 위로 하고 죽어 누워 있었다. 덮은 물건을 차츰차츰 벗기니 처음엔 삼베 홑이불(麻布單衾)을 하나 덮었고, 위는 당목접 저고리 하나를, 아래는 삼베 바지 하나를 입었으며, 발은 면 버선 한 짝을 신었으며, 두 다리는 곧게 펴 있고 두 손은 주먹을 쥐지 않았고 입과 눈은 반쯤 열려 있었다. 시신의 몸과 머리카락을 측정하니 신장은 4척 6촌이며, 두발의 길이는 1척 1촌이었다. (시신이 안치된) 방을 측량하니 동쪽으로 문지방까지 1척 7촌, 남쪽으로 문지방까지 4척 5촌, 서쪽으로 벽까지 1척 3촌, 북쪽으로 문지방까지 3척 7촌이었다.
시신을 밝은 뜰에 내어 놓고 검안을 정해진 순서대로 하였는데 먼저 몸의 앞 쪽을 보고 다음에 뒤 쪽을 보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 초검의 결과는
Appendices 1과
2에 앞면과 뒷면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검험관은 사망자 시신의 여러 부위에서 구타당하였을 당시 생긴 것으로 보이는 증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머리에서는 미총(眉叢, 눈썹활사이, glabella)의 오른쪽 부위에 상처가 아문 곳이 한 곳 있었는데 검험관은 이를 맞아서 생긴 상처라 판단하였다. 초검 기록에는 사망자의 입 안에서 아랫니 왼쪽 이빨 3개와 이쑤시개 모양의 가는 뼈 두 조각이 발견되었다고 하였다. 검험관이 사망자의 턱 밑 부분 왼쪽을 조사하였을 때 검은색 흉터를 확인하였는데 이 때 흉터 주위를 누르니 소리가 났다고 기록하였다. 왼쪽 샅굴 부위에는 피부가 벗겨지고 안쪽으로 고름이 흘러나온 흔적이 확인되었는데 이 부위에 대해서는 의원이 침으로 해당 부위를 절개하여 배농을 시도한 바 있다는 증언이 나온 바 있어 검험관이 상처의 발생 정황을 비교적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몸의 뒤 편에 대한 검험 결과 어깨와 등에서도 상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어깨에서는 좌 우측 모두 살갗이 터진 흔적과 함께 자주색으로 변색한 부분을 볼 수 있었다. 등뼈 부위와 그 주변 근육에서도 이와 유사한 자주색의 딱딱한 응결 덩어리를 확인하였는데 특히 척추옆근육의 아래편에서는 피부가 떨어져 나가 벗겨진 흔적도 관찰되었다. 관례에 따라 입 속 식도로 은비녀를 시험삼아 넣어 환자가 독물 때문에 사망하였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나 색깔이 변하지 않아 중독 가능성은 배제하였다. 흉기로 쓰인 몽둥이는 잃어버려 찾지 못하고 그림으로도 그리지 못하였다. 초검 후 박봉운의 시신은 다시 원래의 방으로 가져다 두고 회인(灰印)으로 표시를 하고 봉쇄하여 수직사령에게 주었다.
운봉군수 이석원은 초검 시 박봉운의 죽음과 관련된 여러 사람의 증언을 청취하였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여기서는 박봉운이 구타당한 사건의 정황과 치료 과정에서의 여러 상황에 대한 중요한 증언이 많이 나왔다.
Table 1.
Details of interrogation of related persons and witnesses (the first investigation of Park Bong-Un case)
Name |
Relationship |
Testimony and interrogation results |
Kang Joi |
Wife of Park Bong-Un |
Bong-Un is healthy without any illness, except for a burned scar on his right hand. After being beaten on the day, Park's teeth are broken, bruises on his waist and back, and he cannot move well. When returning home, Bong-Un is gasping. Doctor Shin (Tae-Jun) uses all kinds of drugs, but he dies. |
Kim Jae-hak |
A man who is first accused of a case as a village elder |
Park Bong-Un steals money recklessly in a gambling place, hence, his brother Heung-up is angry. That is the reason for the fight. |
Lee Joi |
The master of the inn |
On the day, Park Bong-Un and Heung-Up fight over the gambling money. Heung-Up hit Bong-Un in the face with his bat and then seriously beat him on the back. |
Jeong Joi Seo Joi |
A neighborhood resident A person who has seen the fight between Bong-Un and Heung-Up |
It is similar to Lee Joi's testimony, but details about the fight are slightly different. Bong-Un hopes to borrow money. Heung-up lends him money but encourages them to gamble together. Bong-Un refuses at first, but finally succumbs, gambles, and loses all the money he borrows. Since Bong-Un continues asking Heung-Up to return the money, Heung-Up gets angry. Bong-Un's eyebrows are torn and his teeth are broken because he is hit by Heung-Up. |
Park Man-Seon |
A person who gambles together |
Almost identical to Seo Joi's statement. |
Park Dae-Ho |
The nephew of Bong-Un and Heung-Up |
When he first sees the fight, Bong-Un is already unconscious, and Heung-Up is standing with a club. Bong-Un dies after suffering from a hopeless recovery. The reason he cannot move his limbs may be due to the injuries to his back. |
Shin Tae-Jun |
The medical doctor who treats Bong-Un |
Bong-Un is a person who has no illness but he cannot move at all after being beaten. Bong-Un's body is swollen and congested. His respiration is irregular. He uses various drugs but does not see any effect because Bong-Un's condition is critical. |
증언을 요약하면, 사망자 박봉운은 오른 손등에 화약에 데인 흉터가 있을 뿐 사건이 있기 전 특별히 다른 병은 없었고 건강하였다(강조이, 신태준). 이 사건은 사촌 간의 노름판에서 잃은 돈을 박봉운이 다시 돌려달라고 하여(김재학, 서조이, 박만선) 종형인 흥업이 분노하며 다듬이 방망이로 난타하여 일어난 것이다(강조이, 김재학, 서조이). 흥업은 처음에 얼굴을 때려 봉운을 땅에 엎어지게 한 후 등을 난타하였다(이조이). 봉운은 몽둥이로 맞아 눈썹이 찢어지고(서조이), 이빨 3개가 부러져 빠지고 피를 흘렸으며(강조이, 서조이, 박대호), 허리와 등에 멍(靑毒)이 들고 사지를 잘 움직이지 못하게 되었다(강조이, 박대호). 이후 하루를 지나 집으로 실려 돌아온 후 인사불성으로(박만선, 박대호) 숨이 끊어질 듯하였는데(강조이), 맞은 데가 부어올라 울혈이 생기고 호흡이 통하지 않았다(신태준). 읍내 신의원이 온갖 약을 썼지만 효험 없이 시일을 오래 끌다가 결국 사망하였다(강조이). 아내 강조이는 봉운이 서자인 것을 빌미로 흥업이 평소 함부로 대하였다고 하였다.
이상 검험 결과와 증언을 종합하여 초검관인 운봉군수 이석원은 다음과 같이 결론짓고 보고서에 기술하였다. 우선 이석원은 검험 시 사망자의 손상 부위에 대해 부러진 이빨과 위 아래 턱이 어긋나 이가 맞지 않는 것, 상처 난 등 쪽이 특히 심각한데 둘 중에 상태가 더 중한 것을 논한다면 등쪽 상처가 이빨이 빠진 것보다 조금 더 심각하였다고 보았다. 수집한 증거와 청취한 증언을 모아보면 박봉운이 땅에 엎어진 후에도 흥업이 그 등을 때렸다고 판단할 수 있는데 초검관은 이 부위가 매우 위험한 급소(必死處)로서 상해를 입게 되면 장기가 크게 놀라(震蕩) 죽음에 이를 수 있는 부위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또 죽은 사람이 평소 앓고 있는 병이 없고, 구타당한 후 계속 치료받는 상황이었다면 바로 죽지 않더라도 몇 달을 연명할 수 있었을 것이니 박봉운이 죽은 이유를 맞아서 그렇게 된 것 외에 다른 의론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초검관 이석원은 (죽음의) 실제 원인은 몽둥이에 맞은 것이며 범죄자 흥업을 정범으로 지목하였다(
Fig. 2).
Fig. 2.
The post-mortem examination records details of the first investigation on the case of Park Bong-Un.
3. 복검
조선시대에는 변사 사건의 검험을 서로 다른 관리의 감독 하에 최소한 두 번에 걸쳐 따로 시행하게 되어 있었기 때문에 규정에 따라 이 사건의 경우에도 다른 관리에 의해 두 번째 검험을 실시하고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의 자세한 내역은
Appendices 3와
4에 요약하였다. 복검은 음력 1902년 7월 11일에 구례군수 이재헌의 감독 하에 시행되었다. 초검이 6월 29일에 시행되었으므로 초검 후 2주가 경과하지 않은 시기였다. 복검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시행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날씨가 무더운 여름이라 박봉운의 시신은 부패가 심하여 가슴 이상은 피부와 근육이 거의 모두 사라졌으며, 그 나머지 아직 다 썩지 않은 부분에서도 상처의 흔적은 거의 알아볼 수 없게 되었다.
복검 결과 보고서에는 피부와 근육이 사라져 뼈가 드러났다는 기술이나 구더기가 생겨났다는 언급이 대부분이며 초검 시에 의미 있다고 기록된 소견들도 이 시점에는 대부분 관찰이 어려워질 정도로 부패가 심했던 것 같다. 다만 초검 시 사망 원인과 관련하여 중요하다고 생각한 관찰 소견에 대해서는 복검을 실시한 측에서 특히 유의하게 재확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 과정에서 초검 때의 소견을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 몇 가지 추가되었다.
우선 초검 때 확인했던 오른쪽 탈락 치아 3개와 입안에서 확인한 가는 뼈 두 개는 몽둥이로 맞은 후 떨어져 나간 것으로 초검 심문 당시 사망자의 아내인 강조이가 바친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초검 기록에서는 치아와 뼈가 어느 시점에서 어떻게 수습된 것인지, 그리고 빠진 치아와 뼈 조각이 입안에서 발견된 이유에 대해서 분명히 기술되어 있지 않은데 이 부분에 대해 상세히 관련자들에게 확인한 것으로 보이며 치아와 뼈 조각이 입안에서 발견된 이유는 구타에 의한 것으로 이를 수습한 사망자의 아내가 초검 당시 바친 것이라는 점을 확실히 하였다.
다음으로 턱밑 부위에서는 초검 당시 흉터 주위를 눌러보니 소리가 들렸다고 기술했지만 당시 부검이 불가능했으므로 그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었는데 복검 당시에는 연부조직이 이미 부패하여 사라지고 내부의 뼈가 노출되어 이 부위의 정황을 좀 더 분명히 관찰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복검관은 검험 시 사망자의 아래턱뼈가 둘로 부러져 나뉘어 있었던 것을 확인하였는데 초검 당시 눌렸을 때 들렸던 소리는 이 골절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박봉운 생전에 떨어져 나간 치아와 세골은 이 부위에서 떨어져 나온 것 같다고 결론지었다.
초검 당시 기록된 얼굴의 상처와 샅굴 부위의 화농성 병변 등의 구타 흔적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정보가 확보되지 못했다. 다만 등뼈 부위의 경우 오른쪽 한 곳에 상처 난 흔적이 있어 깨끗한 물로 씻어보니 색깔은 암자색(黯紫色)에 딱딱하다고 기록하였다. 은비녀 검사에서는 색깔이 변하지 않았으므로 변사자가 독물 중독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없다고 확인하였다.
검험 당시 복검관은 관련자로부터 증언을 추가로 청취하였는데 이에 새로이 밝혀진 증언만
Table 2에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복검 시 추가 심문은 사건 정황에서 미진했던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중요한 사실이 추가로 밝혀진 것이 꽤 있었다. 우선 사건 발생 당시 박흥업은 봉운을 붙잡아 문 밖으로 끌어내고 몰래 숨기고 간 다듬이 방망이로 봉운의 얼굴을 때려 땅바닥에 쓰러뜨린 다음 등짝 등을 마구 때렸다고 하였다(강조이, 서조이, 이조이). 집에 돌아와 박봉운의 상처를 살펴보니 얼굴과 배 쪽이 부어올랐고(강조이) 등쪽에 통증이 있었으며(강조이, 신태준) 온몸이 상처 투성이고 혈흔이 낭자하여 다 죽게 된 상황이었다 한다(강조이). 눈썹 위의 피부가 터져 피가 흘러(강조이, 서조이, 이조이, 정조이, 박만선, 신태준) 꿀을 발라 치료하였는데(강조이) 처음에는 차도가 있어 보였다(서조이). 박봉운의 이빨(아랫니) 한 개는 맞았을 때 이미 떨어져 나간 것이고(강조이, 서조이, 정조이, 박만선, 박대호), 잇몸은 너덜너덜해졌는데 따로 수습한 2개의 이빨과 뼈 조각 2개는 저절로 떨어져 나간 것으로(강조이, 서조이, 신태준) 초검 당시 증거로 이미 바쳤다(강조이). 왼쪽 넓적다리(사타구니)가 부어올라 고름(膿)이 생겼으며 부기가 온몸에 가득하고, 말을 잘 하지도 못하고 누워서 일어나지도 못하는 상황이었다(정조이, 박만선, 박대호). 박봉운은 숨을 가쁘게 쉬었고 온 몸에 멍이 들어 있었는데(신태준) 그믐날부터는 설사를 하고 얼굴과 배의 붓기가 점점 아래로 내려오고 고름이 생긴곳이 점점 부어올라 고름을 째 냈는데 흘러내린 고름이 1그릇이나 되었다(강조이, 서조이, 신태준). 고름을 짜낸 자리에 심지를 박아 두었는데 4-5일이 지나도 계속 멈추지 않고 고름이 나왔다(신태준). 의원이 시종일관 조치를 하였으나 47일째(6월 28일)가 되어서 마침내 사망하였다(강조이, 서조이, 이조이). 박봉운의 통증은 몽둥이에 맞은 상처가 부어 오른 것 때문이며 다른 증상은 없어 부어 오른 곳을 대처하기 위하여 약물을 쓴 것이다(신태준).
Table 2.
Details of interrogation of related persons and witnesses (the second investigation of Park Bong-Un case)
Name |
Relationship |
Testimony and interrogation results |
Kang Joi |
Wife of Park Bong-Un |
Heung-Up hit Bong-Un in the face with a bat. When Bong-Un is knocked to the ground, Heung-up hits him again on the back. Bong-Un's face and body are swollen, his back is sore, and his bleeding is severe. His teeth and bones that fall off during the fight are submitted to the court as evidence. Pus is squeezed from Bong-Un's left thigh. Doctor Shin Tae-Jun takes measures all the time, but Bong-Un finally dies 47 days later. |
Lee Joi |
The master of the inn |
As Bong-Un and Heung-Up fight angrily with each other over gambling money, Heung-Up hits Bong-Un around his eyebrows with a bat, and then when Bong-Un falls to the ground, Heung-Up hits his back violently. Bong-Un's condition does not improve much even after using various drugs, but he finally dies on June 28. |
Jeong Joi |
A neighborhood resident |
After the fight, Bong-Un's eyebrow bursts, his molar breaks, and he cannot speak well. He recovers a little progressively, but finally, he dies on June 28. |
Seo Joi |
A person who has seen the fight between Bong-Un and Heung-Up |
On arrival, Bong-Un is on the ground, and Heung-up is hitting his backside with a bat. Bong-Un's eyebrows burst and blood flows to his face. By home treatment, Bong-Un's eyebrows seem to be in remission, but his teeth fall off. When a pus is formed on the left thigh, it is squeezed out. He finally dies on June 28. |
Park Man-Seon |
A person who gambled together |
When Bong-Un is beaten up and lying on the bed, his eyebrows are wounded, his face is covered in blood, and his teeth are missing. Bong-Un is in a critical situation and cannot explain. |
Park Dae-Ho |
The nephew of Bong-Un and Heung-Up |
Bong-Un's body is swollen and cannot say anything. His teeth fall off when he is hit. |
Shin Tae-Jun |
A medical doctor who treats Bong-Un |
Bong-Un's face and body are swollen and he complains of pain in his shoulder. He is breathing hard and has several bruises all over his body. Various drugs are administered, but the outcome is unfavorable. The teeth fall out spontaneously. In addition, pus is also formed in Bong-Un's left groin, and it gets worse. He has diarrhea and the pus collects gradually. When the abscess is incised and drained, much pus flows down. The pus does not stop even after 4 to 5 days, finally leading to his death. |
결론적으로 복검관 이재헌은 시장(屍帳)에 조목조목 열거한 바와 같이 아래턱의 골절과 등의 상처가 죽음에 이르게 한 직접적 원인이라고 보았다. 그의 판단에 의하면 사망자가 구타당하던 당시 흥업이 봉운을 때려서 땅에 쓰러뜨리고 연달아 등을 때리니 이 때 오장육부가 뒤틀리고 놀라 치명상을 입었는데 다행히 즉사는 면하여 약물치료로 비록 목숨을 연명하였다 해도 직접적 사망 원인은 구타 당시 등을 가격당한 것 때문으로 생각된다는 것이다. 이 당시 정황에 대해서는 환자를 치료한 의원이나 증인들의 증언이 한결같이 동일하였기 때문에 직접적 사망 원인을 뭉둥이에 맞아 죽은 것으로 하고 구체적으로는 등을 맞은 것이 치명적이었다고 판단하여 초검관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결론을 내렸다(
Fig. 3).
Fig. 3.
The post-mortem examination records details of the second investigation on the case of Park Bong-Un.
고 찰
조선시대에 발생한 사망사건은 임의적이고 즉자적인 사법처리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최소한 두 차례의 검험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였고 이를 『무원록』 과 같은 서적에 자세히 기술된 경험론적 지식에 입각하여 살인 여부와 그 범인을 합리적으로 추정하고자 하였다. 변사사건에서 살인으로 의심되는 정황이 확인되면 이미 정해진 순서에 따라 검험을 실시하였는데 먼저 해당 지역의 군수가 초검을 실시하였고 그 후 인근 지역의 군수 등 다른 관리의 주도 하에 복검이 반드시 추가로 시행되어 판결의 오류를 막고자 하였다. 초검과 복검의 결과는 해당 검험을 담당한 관리 (대개 군수)가 보고서를 세 부 따로 작성하여 하나는 상부에 보고하고 다른 둘은 자체 보관하거나 처음 고발한 시친에게 증명용으로 발급하였다.
이 논문에서 다룬 박봉운 사건은 조선시대 변사 사건이 살인 사건으로 고발된 경우 어떠한 과정을 거쳐 검험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서 얻어진 정보와 관련자의 증언이 어떻게 종합적으로 검토되어 사망 원인의 추정에 대한 합리적 결론에 이르게 되었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이 사건에서는 사망자의 시신이 사망 후 규정에 따라 보존되었고 두 차례의 검험도 매우 신속하고 자세하게 이루어졌으며 사건의 전모도 보고서에 자세히 기록되어 현대 법의학적 시각에서 이를 비교적 정확히 살펴볼 수 있다.
먼저 박봉운 사건에 대한 조사 과정에서 검험관은 사망자가 구타당하였을 당시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증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였고자 하였다. 증인들은 가해자가 다듬이 방망이로 여러 차례 피해자의 다양한 부분을 가격하였다는 증언을 하였는데 검험에서도 이 부분이 집중적으로 조사되었다. 우선 머리에서는 눈썹부위에서 발견된 아문 상태의 상처가 사건 당시 맞아서 생긴 것이라는 점을 증언과 검험으로 확인하였다. 사망자의 이빨과 턱뼈 조각이 구타 결과 떨어져 나온 것이라는 증언이 있었는데 이는 복검 시 아래턱 뼈가 골절이 있었던 것을 추가로 확인함으로써 보다 분명해졌다. 몸의 뒤 편에서는 어깨와 등, 종아리 등에서 살갗이 터져 있거나 자주색 응결 덩어리를 찾았는데 사건 당시 사망자가 등을 집중적으로 맞았다는 한결 같은 증언을 고려하면 이는 구타에 의한 타박상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등이 변색된 원인으로 전적으로 구타에 의한 것 만이 아니라 사망 후 만들어진 시반에 의한 부분도 일정부분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어 착오의 여지가 있었는데 당시 검험관은 검시 때 변색부위에서 상처를 여럿 찾아내어 이러한 우려는 현대 법의학적 시각으로도 성공적으로 불식할 수 있다고 본다.
왼쪽 샅굴 부위의 고름이 흘러나온 흔적에 대해서는 증인의 증언에 의하면 이 부위에 화농이 심하여 절개하여 배농을 시도한 결과 고름이 많이 나왔으며 피해자가 사망할 때까지도 이런 상태는 호전되지 않고 지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샅굴 부위의 병변은 사건 당시를 목격한 증언에서 사망자가 구타당한 부위로 정확히 거론되지 않는 부위이지만 사망자가 사건 이전에 건강한 몸으로 특별한 이상이 없었다는 증언이 있었고 시친이나 의원 등이 이 화농성 병변을 사망자가 구타당한 후 구료하는 과정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 역시 사건 당시 구타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구타 직후 배 부위가 부어 있었는데 사망에 가까워져 샅굴 쪽으로 더 퍼져 나갔다는 의원의 증언에 대해서는 이를 명확히 단정할 수는 없더라도 화농성병변의 진행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초검관과 복검관은 박봉운의 사망원인에 대해 피의자 박흥업에 의한 살인사건으로 확인하고 두 관리 모두 여러 부위 상처 중 등에 입은 손상이 가장 치명적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검험관이 이렇게 추정한 것은 조선시대에 등은 매우 위험한 부위로 이곳을 구타당하면 내부 장기가 손상되어 죽음에 이른다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등에 타격을 입으면 물론 잘 움직이지 못하고 장기간 병석에 누워 있을 수 밖에 없겠지만 현대의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것이 피해자 사망의 직접적 원인이었을지는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사건 당시 구타로 인해 내부 장기가 손상된 결과라고 보기에는 피해자가 생존해 있었던 기간이 너무 길어(47일) 장기의 급성 출혈에 의한 쇼크 등을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하기가 쉽지 않다. 오히려 샅굴부위에 있었다는 화농성병변의 정도나 진행 양상을 볼 때 이쪽이 피해자 사망의 직접적 원인과 더 관련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볼 수도 있다. 따라서 박봉운 사건의 경우 검험 보고서와 증언에 대한 기록에만 의존해야 하는 한계를 감수하고 직접사인을 추정해 본다면 다발성 외상에 의한 패혈증 때문에 사망했을 가능성이 좀 더 높지 않을까 생각한다.
박봉운 변사사건은 대한제국시대인 1902년에 발생한 것으로 검험과 증언 청취 및 사건의 종결 과정이 『무원록』에 기반한 구한말 이전의 전통을 그대로 잇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시대 살인사건 조사의 구체적 실상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조선시대에는 현대 법의학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조사방법이 불가능하며 검험 당시에도 직접 해부하여 부검하지 않고 눈으로 관찰 가능한 부분만 기술하였기 때문에 사망원인의 규명에 있어 그 한계는 분명하다 하겠다. 하지만 이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그 방법론 상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당시 초검관과 복검관은 모두 주어진 상황에서 사망원인을 합리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던 것으로 보인다. 초검관은 사망 후 즉각 검험을 실시하여 시신이 많이 훼손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망 원인에 대한 결정적 증거를 많이 수집하고자 하였고 복검관은 초검 당시 미진했던 부분을 직접 조사하여 새롭게 확정한 부분이 많아 그 성과를 높게 평가할 만하다. 이 사망사건에 대해 이루어진 검험의 전체 과정은 매우 세부적인 사항까지 보고서인 검안에 자세히 기술되었으며 이에 대한 논리적인 추론을 토대로 당시로서는 매우 합리적인 과정을 거쳐 살인사건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이렇게 치밀한 조사에도 불구하고 최종 결론의 타당성에 대해서는 현대의학의 입장에서 본다면 여전히 다른 견해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결국 당시 의학수준의 한계라고도 할 수 있으며 조선시대 검험기록을 검토하는 데 있어 앞으로는 이러한 부분을 규명하는 데에도 더욱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Grant (800-20220548)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Gyoyukyeongujangryeobi-2024).
References
1.Ergang R. Europe from the Renaissance to Waterloo. Boston: D.C. Heath and Company; 1966.
2.Shin DH, Hong S, Kim CY, et al. Prospect of paleopathological research on the forensic work records of Joseon Dynasty period in Korea. Asian J Paleopathol 2023;5:8-20.
3.Yun YH, Shin DH, Hong S, et al. Anatomical landmarks used for post-mortem investigation records described in Jeungsu Muwonrok Eonhae of Joseon Dynasty period. Anat Biol Anthropol 2023;36:67-76.
4.Kim H. The Publication of the Shinju-Muwonrok (the newly annotated edition of the Wuyuanlu) during the early 15th century, and the autopsy procedures at the time. Korean J Leg Hist 2003;27:195-230.
5.Kim H. Kumko, a manual of autopsy for the local officials in early nineteenth century, Joseon. Joseonsidaesa Hakbo 2015;72:385-416.
6.Kim H. A postmortem examination, document of ‘normal exception’. Jangseogak 2015;34:312-25.
7.Kwak JS. A review of postmortem investigation of Joseon Dynasty in the aspect of recent forensic medicine. J Forensic Invest Sci 2006;1:5-10.
8.Choi H. Operation of autopsy system in the Song period: focusing on the ‘ Administrative Documents of Autopsy System'. Yeoksa Hakbo 2013;220:125-56.
9.Song C, Lee H, Jang Y, et al. Jeungsu Muwonrok Eonha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Center; 2004.
10.Kim H. A basic evaluation of criminal investigation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Kyujanggak Archives. Joseonsidaesa Hakbo 1998;4:155-230.
11.Kim GO. Analysis-examples of examination of a murder case related to Lim, Sosa at Changsundo in the late 19th century. Hist Bound 2009;73:107-35.
12.Cho Y. The contents and historical material value of coroner's inquest reports in C.V. Starr East Asian Librar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Korean J Orient Med 2011;17:29-37.
13.Kim H. A study on the righteous violence and its limit in 19th century through Lee Hakjo Autopsy Report. Gomunseo Yeongu 2017;50:75-96.
14.Cho YJ. Reinterpretation of murder scene inspections from 1895 to 1907: an analysis of the pictures of homicide tools in post-mortem reports. Kyujanggak 2016;48:273-361.
15.Chon K. Practices of gambling in late Chosun appeared in the ancient documents and examinations. Gomunseo Yeongu 2017;50:51-74.
16.Park S. Women and society in the late-nineteenth-century inquest record. Gomunseo Yeongu 2017;50:1-26.
17.Sim JW. Mountain Lawsuits in the ending days of Joseon, examined through Geom'an (autopsy reports) materials. Gomunseo Yeongu 2017;50:27-50.
Appendices
Appendix 1.
The results of the first investigation: anterior part of Park Bong-Un
Modern anatomical term |
Body parts described in the record |
Results of investigation |
Vertex |
頂心 |
Intact. Colors are blue, white, and yellow depending on the parts. Soft and tender. |
Parietal region |
偏左偏右 |
Same as above |
Bregma |
顖門 |
Same as above |
Medial part of frontal bone |
頭顱 |
Same as above |
Lateral part of frontal bone |
額角 |
Intact. The color is yellowish-white. Soft and tender. |
Pterion |
兩太陽穴 |
Same as above |
Eyebrow |
兩眉 |
Same as above |
Glabella |
眉叢 |
There is a scar on the right eyebrow. The left eyebrow is intact. |
Eyelid |
兩眼胞 |
Intact. The color is yellowish-white. Soft and tender. |
Pupil |
兩眼雙睛 |
Same as above |
Zygomatic region |
兩顋頰 |
Same as above |
Ear |
兩耳 |
Same as above |
Auricle |
耳輪 |
Same as above |
Lobule of auricle |
耳垂 |
Same as above |
External acoustic pore |
耳竅 |
Same as above |
Nasal bridge |
鼻粱 |
Same as above |
Nasal tip |
鼻准 |
Same as above |
Naris |
鼻竅 |
Same as above |
Philtrum |
人中 |
Same as above |
Lips |
上下脣吻 |
Intact. The color is yellowish-white. Soft and tender. |
Teeth |
上下牙齒 |
Bong-Un's missing teeth and thin bone fragments found in his mouth are submitted to the court as evidence. |
Tongue |
舌 |
Intact. Not protruded. |
Submandibular |
頷頦 |
When palpated, it makes a clicking sound. An oblique scar is also found. |
Pharyngolarynx |
咽喉 |
Intact |
Pharyngolarynx |
食氣顙 |
Same as above |
Clavicle |
兩血盆骨 |
Intact. The color is yellowish-white. Soft and tender. |
Scapula |
兩肩胛 |
Same as above |
Axilla |
兩腋胑 |
Same as above |
Upper arm |
兩脅膊 |
Same as above |
Elbow |
兩 䐐 |
Same as above |
Wrist |
兩手腕 |
Same as above |
Palm |
兩手心 |
Same as above |
Finger |
手指 |
Same as above |
Fingertip |
手指肚 |
Same as above |
Hyponychium |
手指胛縫 |
Intact |
Chest |
胸膛 |
Intact. Color is yellowish-white. Soft and tender. |
Breast |
兩乳 |
Same as above |
Epigastric region |
心坎 |
Same as above |
Epigastrium |
肚腹 |
Intact. A little hard when palpated. |
Rib |
兩肋 |
Intact. The color is yellowish-white. Soft and tender. |
Flank |
兩脇 |
Same as above |
Umbilical region |
臍肚 |
Same as above |
Inguinal region |
兩胯 |
There is a skin defect in his left groin. When palpated with the hand, pus comes out from it. It is likely a hole formed during the incision of the abscess. |
Penis, Scrotum |
莖物腎囊 |
Intact. Stretched down and soft. |
Thigh |
兩腿 |
Intact. The color is yellowish-white. Soft and tender. |
Knee |
兩膝 |
Same as above |
Leg |
兩膁肕 |
Same as above |
Ankle |
兩脚腕 |
Same as above |
Dorsum of foot |
兩脚面 |
Same as above |
Toe |
足趾 |
Same as above |
Toenail |
足趾甲 |
Intact |
Appendix 2.
The results of the first investigation: posterior part of Park Bong-Un
Modern anatomical term |
Body parts described in the record |
Results of investigation |
Occiput |
腦後 |
Intact. The color is bluish-yellow. Soft and tender. |
Hairline |
髮際 |
Same as above |
Eminence of conchae |
耳根 |
Same as above |
Posterior cervical region |
項頸 |
Same as above |
Posterior shoulder region |
兩臂膊 |
There are wounds on both shoulders. The color is dark purple. A little hard when palpated. |
Cubitus |
兩肐肘 |
Intact. The color is yellow-whitish. Soft and tender. |
Wrist |
手腕 |
Same as above |
Dorsum of hand |
兩手背 |
Same as above |
Fingers |
手指 |
Same as above |
Nail |
手指甲 |
Intact |
Vertebra |
脊背 |
Bad energy is condensed in one area. The color is dark purple. When palpated, it is very hard. |
Paraspinal muscle |
脊膂 |
The color is dark purple. When palpated, it is a little hard. There is a sign of skin decomposition. |
Rib, posterior part |
兩後肋 |
Intact. The color is dark blue. A little hard. |
Lumbar region, posterior part |
兩後脇 |
Same as above |
Waist |
腰眼 |
Intact. Color is bluish-yellow. Soft and tender. |
Buttocks |
兩臀 |
Intact. The color is yellowish-white. Soft and tender. |
Anus |
穀道 |
Intact |
Thigh |
兩腿 |
Intact. Color is bluish-yellow. Soft and tender. |
Popliteal fossa |
兩 䐐 |
Same as above |
Leg |
兩腿肚 |
Two skin defects |
Medial and lateral malleoli |
兩脚踝 |
Intact. Color is bluish-yellow. Soft and tender. |
Heel |
兩脚跟 |
Same as above |
Plantar |
兩脚心 |
Intact. The color is yellowish-white. Soft and tender. |
Toes |
足趾 |
Intact. The color is bluish-yellow. Soft and tender. |
Tiptoe |
足趾肚 |
Same as above |
Hyponychium |
足趾甲縫 |
Intact |
Appendix 3.
The results of the second investigation: anterior part of Park Bong-Un
Modern anatomical term |
Body parts described in the record |
Results of investigation |
Vertex |
頂心 |
Skin is peeled off and the bones are exposed. |
Parietal region |
偏左偏右 |
Same as above |
Bregma |
顖門 |
Same as above |
Medial part of frontal bone |
頭顱 |
Same as above |
Lateral part of frontal bone |
額角 |
Muscles disappear and the skin is turned black. |
Pterion |
兩太陽穴 |
Same as above |
Eyebrow |
兩眉 |
Same as above |
Glabella |
眉叢 |
Same as above |
Eyelid |
兩眼胞 |
Same as above |
Pupil |
兩眼雙睛 |
Disappear |
Zygomatic region |
兩顋頰 |
Muscles disappear and the bones are exposed. |
Ear |
兩耳 |
Disappears and maggots form |
Auricle |
耳輪 |
Same as above |
Lobule of auricle |
耳垂 |
Same as above |
External acoustic pore |
耳竅 |
Same as above |
Nasal bridge |
鼻粱 |
Muscles disappear and the bones are exposed. |
Nasal tip |
鼻准 |
Same as above |
Naris |
鼻竅 |
Same as above |
Philtrum |
人中 |
Same as above |
Lips |
上下脣吻 |
Same as above |
Teeth |
上下牙齒 |
Several teeth are missing. Two bones are identified inside Bong-Un's mouth. They are offered to the court as evidence. |
Tongue |
舌 |
Disappear |
Submandibular |
頷頦 |
The muscles are almost gone and the bones are broken and divided into two. |
Pharyngolarynx |
咽喉 |
Disappear |
Pharyngolarynx |
食氣顙 |
Same as above |
Clavicle |
兩血盆骨 |
Muscles disappear and bones are exposed. |
Scapula |
兩肩胛 |
Muscles disappear and bones are exposed. |
Axilla |
兩腋胑 |
Same as above |
Upper arm |
兩脅膊 |
Same as above |
Elbow |
兩 䐐 |
On the left side, muscles disappear, bones are exposed, and maggots appear dizzy. On the right side, the skin is rotten. The color is bluish-black. Soft and tender. |
Wrist |
兩手腕 |
The muscles disappear, the skin stuck to the bones, and the color is dark red. |
Palm |
兩手心 |
Same as above |
Finger |
手指 |
Same as above |
Fingertip |
手指肚 |
Same as above |
Hyponychium |
手指胛縫 |
Same as above |
Chest |
胸膛 |
The muscles disappear, the skin sticks to the bones, and the color is bluish red. |
Breast |
兩乳 |
Same as above |
Epigastric region |
心坎 |
Same as above |
Epigastrium |
肚腹 |
Stretched downwards |
Rib |
兩肋 |
Skin rots away and the bones are exposed. |
Flank |
兩脇 |
Same as above |
Umbilical region |
臍肚 |
Same as above |
Inguinal region |
兩胯 |
On the left side, the muscles disappear, bones are exposed, and a hole is formed through a rotten gap. On the right side, the muscles disappear, and the skin dries and is attached to the bones. The color is bluish-red. |
Penis, Scrotum |
莖物腎囊 |
Disappear |
Thigh |
兩腿 |
Skin rotted away. |
Knee |
兩膝 |
Same as above |
Leg |
兩膁肕 |
Same as above |
Ankle |
兩脚腕 |
Same as above |
Dorsum of foot |
兩脚面 |
Same as above |
Toe |
足趾 |
Same as above |
Toenail |
足趾甲 |
Intact. The color is white. |
Appendix 4.
The results of the first investigation: the posterior part of Park Bong-Un
Modern anatomical term |
Body parts described in the record |
Results of investigation |
Occiput |
腦後 |
Muscles disappeared and bones were exposed. |
Hairline |
髮際 |
Same as above |
Eminence of conchae |
耳根 |
Same as above |
Posterior cervical region |
項頸 |
Same as above |
Posterior shoulder region |
兩臂膊 |
Muscles disappear and skin becomes bluish-black. |
Cubitus |
兩肐肘 |
Skin rots away and the bones are exposed. |
Wrist |
手腕 |
Muscles disappear and skin becomes bluish-red. |
Dorsum of hand |
兩手背 |
Same as above |
Fingers |
手指 |
Same as above |
Nail |
手指甲 |
Intact. The color is white. |
Vertebra |
脊背 |
There is a wound on the right side. The color is dark blue. Hard when palpated. On the left side, the skin is attached to the bone. The color becomes bluish-red. |
Paraspinal muscle |
脊膂 |
Muscles disappear and skin becomes bluish-black. |
Rib, posterior part |
兩後肋 |
Intact. The color is dark blue. A little hard. |
Lumbar region, posterior part |
兩後脇 |
Same as above |
Waist |
腰眼 |
Rotted. The color is bluish-red. Soft and tender. |
Buttocks |
兩臀 |
Same as above |
Anus |
穀道 |
Rots and maggots are formed. |
Thigh |
兩腿 |
Skin rots away and the bones are exposed. |
Popliteal fossa |
兩 䐐 |
Same as above |
Leg |
兩腿肚 |
Same as above |
Medial and lateral malleoli |
兩脚踝 |
Same as above |
Heel |
兩脚跟 |
Muscles disappear and the skin becomes yellowish-white. |
Plantar |
兩脚心 |
Same as above |
Toes |
足趾 |
Same as above |
Tiptoe |
足趾肚 |
Same as above |
Hyponychium |
足趾甲縫 |
Intact |